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찬송가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의 유래
    평행선 눈 2019. 12. 22. 21:05





    찬송가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의 유래

     

           성탄절이 코앞이다. 이 날이 되면 세계 모든 나라 사람들이 하나님의 축복 속에 평온을 기도한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나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어둠에 묻힌 밤…’ 이라는 노래를 흥얼거렸을 것이다. 모든 사람에게 사랑과 평온이 깃들기를 기도하며 이 노래의 유래를 알아보자.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찬송가 이야기
                                                                                                                              옮긴글 


                크리스마스 캐롤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은 1818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유럽의 오스트리아에서 탄생했다. 200년이 흘렀건만 아름다운 멜로디와 가사는 여전히 우리 모두에게 감동을 선사한다. 1818년 어느 늦은 밤, 오스트리아 잘차흐(Salzach) 강변에 위치한 오베른도르프 (Oberndorf)라는 작은 마을에 성 니콜라스 교회를 지키는 모올 신부가 땀을 뻘뻘 흘리며 오르간을 고치고 있었다. 그 교회 오르간은 잘차흐 강의 습기로 크리스마스를 일주일 앞뒀을 때 갑자기 고장이 나 버렸던 것이다. 그런데 수리를 위한 기술자의 방문은 이듬해 봄에나 오기로 되어 있었다. 크리스마스에 성탄미사도 드려야 하고, 연극 발표회도 해야 하는데 한 대밖에 없는 오르간이 고장 났으니 참으로 난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시골마을이라 기술자는 봄에나 오게 되었고, 그렇다고 새로 구입할 형편도 아니었기에 모올 신부는 며칠째 오르간을 뜯어서 이리저리 살펴봤지만 도무지 고칠 수가 없었다. '오르간 없이 어떻게 성탄절 행사를 치를까?‘ 몹시 상심한 그는 일손을 멈추고 꿇어앉은 채 간절한 마음을 담아 한참동안 기도를 올렸다. 그리고 고개를 들어 창밖을 내다보니 깊은 밤 어둠 속으로 환한 달빛이 비추는 마을의 풍경이 무척 평화롭고 아름답게 보였다. 

       '참으로 고요한 밤이구나..... !' 



         그 평화로운 마을의 풍경에 감동을 받은 순간, 그는 아름다운 시 한편을 떠올렸다. 그는 신부가 되기 전에 바로 이와 같은 광경을 바라보며 감동이 되어 '고요한 밤(Silent Night)'이란 시를 써놓았던 적이 있었다. 그는 즉시 펜을 들어 떠오르는 글들을 새롭게 다시 써내려갔다. 다음 날 아침 그는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인 프란츠 그루버(Franz Gruber) 선생을 찾아가 시를 보여주며 작곡을 부탁했다.


                            "오르간이 고장 났으니 선생님께서 이 시로 작곡을 해서 성탄미사 때 기타로 연주하면 어떻겠습니까?" 


       그 해 성탄절, 교회의 신도들은 성스러운 성탄절에 기타를 들고 교회의 제단에 선 모올 신부와 그루버 선생을 보고 모두들 의아하게 생각하며 바라보았다. 잠시 후 바로 그 작은 성당에서 모올 신부가 쓴 한 편의 시에 그루버 선생이 곡을 붙인 감미로운 음악이 기타로 연주되었고, 두 사람은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으며, 그들 두 사람의 목소리는 다시 교회의 성가대가 합세하여 코러스가 되어 울려 퍼졌다. 노래가 끝난 후에 신도들은 한동안 감동으로 침묵을 지켰다. 잠시 후에 신도들은 박수를 치며 기뻐했고, 결국 모올 신부는 음악이 있는 뜻 깊은 크리스마스를 보내게 된 것이다. 


       다음 해 봄, 교회는 고장이 난 오르간을 고치게 되었다. 드디어 오르간을 고치러 교회로 기술자가 오게 된 것이다. 그런데 오르간을 고치러 온 기술자가 우연히 이 노래의 악보를 보게 되었다. 그는 감동적인 이 노래 악보를 보고 가지고 갔다. 그리고 오르간을 고치러 독일의 이곳저곳을 오가면서 그때마다 이 노래는 새로운 곳으로 계속 퍼져나갔다. 처음엔 독일에서, 그 다음에는 유럽에서, 그리고 지금은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크리스마스 캐럴이 된 것이다.










    '평행선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은 연애의 무덤  (0) 2020.07.24
    고민정과 조기영 시인의 사랑  (0) 2020.04.21
    초가지붕에 눈이 내리면  (0) 2019.12.16
    버리고 떠나기  (0) 2019.12.13
    「나는 날마다 나와 이별한다」를 읽고  (0) 2019.11.13
Designed by Tistory.